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계간지

2020년 7호 [지부 탐방_경남여객지부]조합원과 함께 하는 용인 경남여객지부의 힘찬 내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조회 1,127회 작성일 20-02-11 19:43

본문

조합원과 함께 하는 용인 경남여객지부의 힘찬 내일

미완성의 노동시간 단축, 노동자 처우개선 함께해야
수입금 공동관리형 준공영제로 근속연수 높이고 서비스 질 개선해야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경남여객은 1,000여 명의 노동자가 일하고 있는 사업장으로, 경기도에서도 세 손가락 안에 꼽히는 규모를 자랑한다. 시내버스, 고속버스, 광역버스, 시외직행버스 등 다양한 노선버스를 운행하고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준공영제 형태로 운행되고 있다. 하루에 운영되는 버스 수만 해도 최대 480대다. 조합원 660여 명이 소속되어 있는 경남여객지부는 올해로 노조 설립 40주년을 맞았으며, 경기지역 버스업계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13b5768af28471dd7945d062b660bfa9_1581495120_73.jpg 

노동시간 단축, 완성체로 나아가려면“대기시간을 노동시간으로 인정받을 수 있게 만들었어요. 지금 대부분의 사업장에서는 승무원이 버스 운전대를 잡는 시간만 노동시간으로 계산하고 있는데, 승무원이 대기하고 있는 시간도 노동시간으로 치지 않으면 노동시간 단축의 의미가 없어요.”
경남여객지부의 자랑을 묻는 질문에 김수진 지부장의 입이 바쁘게 움직였다. 김 지부장은 지난 20년 동안의 노하우를 노동조합 활동에 쏟고 있으며, 주요 관심사는 단연 노동시간 단축이다. 그는 현재 버스 노동시간 단축이 완성체가 아니기 때문에 완성체로 만들기 위한 활동에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지부장은 “노조가 생각하는 경남여객의 노동시간 기본 틀은 만약 승무원이 15시간의 임금을 받으면 운전대를 잡고 있는 시간은 12~13시간을 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라며 “15시간 임금을 받기 위해 17~18시간을 눈 뜨고 있는 현실을 바꿔야 노동시간 단축과 버스가 특례업종에서 제외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버스운전 업무 특성상 중간에 발생하는 대부분의 대기시간을 사용자 지휘 아래 있는 것으로 보고 ‘주유 및 장비 점검 등의 시간까지’ 노동시간으로 봐야 한다는 게 그의 입장이다.
지난 20년간 경남여객의 이직률은 20%로 상당히 높아졌다. 김 지부장의 최종 목표는 미완성인 노동시간 단축을 완성해 조합원들의 근속연수를 늘리는 것이다. “예전에는 승무원들의 직장 애사심이라는 게 존재하지 않았어요. 제가 노동시간 단축을 통해 추구하는 건 버스노동자가 경남여객에 오래 근무하면서 운전 경력과 노하우를 쌓고, 사용자는 우수인력의 근속연수가 늘어날 때 그에 상응하는 처우개선을 하는 거죠.”

올해 단협 ‘징계조항 재정비할 것’ 올해는 2년에 한 번 있는 단체협약을 체결하는 해다. 경남여객지부는 올해 단협에서 징계조항을 재정비하려고 준비하고 있다. 사고 발생 시 노동자에게 징계를 내리는 징계조항이 오래돼 현실에 맞게 정비할 계획이다.
“버스업계 특성상 경남여객 내 징계조항이 있어요. 징계조항을 없애자는 건 아닌데 현실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징계조항이 너무 오래됐어요. 사고가 발생해 회사에 손실을 끼쳤을 때 회사가 제공하는 금액 선이 저하돼 있어요. 지금 이층 버스 앞 유리만 해도 400만 원이 넘는 상황에서 형평성에 맞게, 현실에 맞게 금액을 상향 조정할 필요가 있죠.”
경남여객은 지난해 노동시간 단축으로 200명의 인력이 충원된 이후 사고 건수가 늘었다. 김 지부장은 새로 입사한 초보 승무원의 운전 미숙으로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는 건 중요하지만, 무조건적인 징계가 해답이 될 수 없다고 보고 있다. 올해 1월에는 명절을 앞둔 승무원들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징계 심사에서 기회를 한 번씩 줘 징계로 인한 면직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용자에게 제안해 조치하기도 했다.
이렇게 조합원을 위해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는 김 지부장이지만, 조합원에게 단호한 태도를 보이는 것이 하나 있다. 바로 운전 시 휴대폰 사용이다. 조합원에게 ‘사용자도 아닌데 왜 지부장이 먼저 나서서 뭐라고 하느냐’라는 소리를 들은 적이 있을 정도다.
“많은 시민이 이용하는 버스에 승무원의 휴대폰 사용으로 위험요소를 가중하면 안 된다는 게 기본 생각이고, 조합원을 위한 지부장이지만 휴대폰 사용으로 인한 사고는 노조에서 변론하지 않겠다고 조합원에게 선언하기도 했어요. 우리 스스로가 이런 원칙을 지켜나가야 이를 명분으로 더 나은 처우개선을 위해 힘을 쓸 수 있어요.”

경기도형 버스준공영제가 가야 할 길 경남여객에 변화의 바람을 가져온 것 중 하나는 버스준공영제다. 현재 경남여객에는 버스준공영제 버스가 49대, 해당 버스를 운행하는 승무원은 110여 명이 있다. 때문에 매년 공영제 임금 교섭을 따로 해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
김 지부장은 지자체가 버스 적자를 메워주고 수익을 보장해주는 ‘수입금 공동관리형’이 경기도 버스준공영제가 가야 할 길이라고 밝혔다. 경기도 지역 특성상 각 시·군마다 수입금 격차가 크기 때문에 같은 시간을 운영해도 수입금이 적은 안성, 이천, 여주 등은 지속적인 재정지원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수입금 공동관리형으로 일정 수준의 기본이윤이 보장되지 않으면 노동자가 수입금이 적은 지역의 사업장에 ‘머물러 있지 않다’는 점을 지적했다.
“어떤 노동자가 임금 수준이 보장되지 않는, 수입금이 적은 지역에서 일하려고 하겠어요. 임금 따라서 재정 지원해주는 서울로 가겠죠.”
일각에서는 수입금 공동관리형으로 운영되면 일정 수준의 기본이윤이 보장돼 업체의 자발적인 서비스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는데, 김 지부장의 생각은 다르다. 수입금 공동관리형으로 기본이윤을 보장해야 노동자를 사업장에 “붙잡아 놓을 수 있고”, 평균 근속연수가 높아져야만 공공성, 안전성 등 “서비스 질을 개선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우리 사업장에 있는 운수종사자들의 목표는 동일업종 동일임금이에요. 그 길에 우리 조합원이 함께 갈 수 있도록 제가 인도하는 역할을 하려고 해요. 힘들어도 다 같이 갈 수 있게요. 이미 경기도 권역에서의 답은 형성돼 있어요. 상당 부분 수면으로 드러나 있는 우리 목적지를 향해 가야 한다고 조합원에게 호소하고 싶어요.”